Number1 - 자연수, 정수, 10진수, 2진수, 부동소수점, 실수
자연수
1,2,3,4,5...
0은 포함되지 않는다.
정수(integer)
-4, -3, -2, -1, 0, 1, 2, 3, 4, 5, 6, 7...
0이 포함된다.
입력데이터는 어떻게??
CPU가 입력데이터를 받는데 전기신호로 받아 들인다. 시간에 맞추어 전압으로 체크한다. output을 내보낸다.
십진법(decimal number)
10개의 숫자로 표현한다.
이진법(binary number)
컴퓨터는 이진법을 사용한다.
10진수 -> 2진수
9
를 10진수로 표현한다면 9 x 10^0
로 표현할 수 있다.
그럼 2진수로 변경한다면
2^3 + 1
로 표현할 수 있는데 이를 더 풀어 쓰면 1 x 2^3 + 0 x 2^2 + 0 x 2^1 + 1 x 2^0
으로 표현할 수 있다.
앞의 자리만 가져오면 1001
로 표현할 수 있다.
정수를 저장할 땐
정수를 컴퓨터 메모리에 저장할 때는 부호
와 2진수
로 저장한다.
실수(real number)
3.141592 , -3.14, 0.5, 1/2, 0.25... 점이 있는 숫자이다.
부동 소수점(floating point)
float와 부동은 둥둥 떠다닌다는 뜻으로 생각해보자
3.141592를 컴퓨터에 실수로 저장하겠다고 한다면
3141592/100000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는 3141592 x 10^-6이 될 수 있다.
그럼 저장할 때 부호 + 10^-6(2진수로 바꿔서) + 3141592(2진수로 바꿔서) 메모리에 저장된다.
3.141592가 31.41592가 된다면? 10^-6(2진수로 바꿔서) 이 부분만 바뀌면 되서 점의 위치가 왔다갔다 한다.
부동소수점이라는 이름이 붙였다.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