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wars 이용자 솔루션 모음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
배열에서 2번이상의 문자가 들어있는 문자의 수
, , , , , 's Solution
filter를 통해 2번이상 들어 있는 문자만의 배열을 새롭게 만드는데, arr.indexOf(val) !== i
와 arr.lastIndexOf(val) === i;
를 통해 맨 마지막 문자열과 앞의 문자열이 중복된게 있는지 체크 해준다.
WUB라는 글자가 나오면 삭제하고 나머지 글자 사이엔 하나의 공백만 넣는다.
, , , , , 's Solution
split를 사용하여 'WUB'를 제거하는 효율적인 방법이 놀랍다. 또한 split 이후 filter로 배열의 원소가 ""
공백인 곳을 잡아준다. 매우 효율적으로만 구성된 코드다.
return을 본인으로 하여 재귀함수가 되지만 신선한건 재귀값들을 배열로 만들었다는 점이다.
a와 b가 같아질때까지 계속 재귀함수가 실행되고 return []안에는 min값이 계속쌓이고 마지막 a === b
같아지는 순간에는 [a]가 리턴되는데 이 값은 ...으로 destructuring되어 맨처음 시작했던 함수에서 최종적으로 모든 min값이 return되는 정말 재밌고 신기한 구조쓰
result에 들어간 요소들은 처음받은 array에서 제거된다. 정확하게 정사각형이 도는 순환구조대로 짜져있으며 array는 계속 수정되므로 length가 없을때는 result가 return된다.
type이 string인 숫자를 인자로 받아 총합이 3으로 나뉘어 지는지에 대한 알고리즘
str을 split('')을 사용하지 않고 배열로 만든점이 신선하다. 또한 아직 문자열을 +d+s
로 하여(순서를 바꿈) 숫자로 바꿔버림.
헉 무조건 답이 나오는데 이유는 모르겠다. 헉
하나씩 살펴보자.
h < v보다 클경우. v = h가 되고 h = v가 된다.
return은 큰 값 h는 빼고 한다.
이부분에서 마지막 []은 왜하는지 모르겠다.
인자로 가로(a)와 세로값(b)을 받으며 가장 큰 정사각형부터 시작하여 총 몇개의 정사각형이 나올 수 있는지에 관한 문제이다. 같은 자리에 작은 정사각형은 세지 않는다.
's Solution
인자로는 배열을 받는데 nxn 의 정사각형의 각각 숫자를 배열로 받는다. 배열안에 배열로 구성되어 있다.
, , , , , 's Solution
's Solution
인자로 받은 숫자가 계속 더하여 한자리가 되면 리턴한다!
, , , , , 's Solution
' solution